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6

2023년7월21일의 단상 인구 소멸을 걱정해야 할 낮은 출산률. 아예 결혼조차 하지 않거나 최대한 늦게 하는 젊은이들이 대다수인 나라. 압도적인 자살률 1위 국가. 청년은 청년대로 노년은 노년대로. 사회적으로 보호 받지 못하고 삶을 포기하는 나라. 출근 길 지하차도에 갇혀 어처구니 없이 죽음을 당하고, 실종된 사람을 찾기 위해 투입된 사람이 최소한의 안전 장치도 없어서 또 다시 죽음을 당하고. 초등학생이 교사를 폭행하고, 또 다른 선생님은 자신이 근무하던 학교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고. 이 모든 것을 누군가를 혐오하고 비난하기 위한 소재로 사용하고, 정치적 이슈로 만들어 사람들의 다툼을 유발하고. 어쩌면 이 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성장을 이룬 나라로 역사에 기록되면서, 동시에 그런 성장의 정점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내.. 2023. 7. 21.
META 의 마크 주커버그가 작정하고 만든 새로운 SNS 'Threads(쓰레드)' 이용 첫 소감! 주커버그의 META 에서 개발한 새로운 소셜미디어서비스 Thread (쓰레드)가 국내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해서 설치하고 간단 리뷰. Threads 는 네이버 영어사전에서 찾아보면 (이야기 등의) 가닥(맥락)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, 잘 사용하는 표현은 아니긴 하지만 회사 생활하는 직장인들(특히, 글로벌 기업 쪽) 은 업무 관련 소통하면서 메일 쓰레드라는 표현을 들어본 적도 있을 것이다. 소셜네트워크 서비스, 특히 텍스트 기반의 소셜 서비스라면 사람들을 연결하고 이야기를 주고 받는다는 의미에서 적절한 네이밍이 아닌가 싶다. 쓰레드의 가장 큰 특징은 메타의 기존 서비스인 인스타그램과 연동되어 있다는 점이다. 가입 단계 부터 아예 인스타그램 계정을 연동하고 기존 팔로워들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설계 되어 있다.. 2023. 7. 7.
[미디움 스터디_01] 유튜브에서 100만 조회 수면 얼마나 벌까? This Is How Much YouTube Paid Me for My 1,000,000 Viewed Video Here is the answer to the question that everyone asks me 원문 : https://onezero.medium.com/this-is-how-much-youtube-paid-me-for-my-1-000-000-viewed-video-1453cad73847 [내 맘대로 짥은 요약] 유튜브 동영상 조회 수 100 만에 도달 하면 광고 수익으로 대략 2천 ~ 5천 달러 (약 245만원 ~ 613 만원) 번다. 광고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건 시청자 위치, 연령, 주제인데, 이 중 제작자가 통제할 수 있는 건 "주제" 뿐이다. 어떤 주제를 통해 어떤 시청자를 끌어.. 2020. 4. 27.
[간단리뷰] 요즘 읽은 책들 2020년 3월 중순부터 4월 초에 읽은 책에 대한 간단 후기 뭘 할지는 모르지만 아무거나 하긴 싫어 작년에 사서 책상 위에 몇 달간 두다가 이제야 읽었다. 여행 콘텐츠 기획사라고 스스로를 표방하는 트래블 코드에서 만든 책이다. 이 회사에서 만든 책 중 퇴사 준비생의 도쿄를 워낙 재미있게 봤고, 제목이 꼭 내 맘 같아서 샀다. 이 책의 컨셉은 뭘 할지는 모르지만 아무거나 하긴 싫은 기획자들에게 생각의 재료를 제공한다는 것이다. 퇴준생 시리즈가 그렇듯 외국에서 만날 수 있는 비즈니스 사례 - 그중에서도 외식업 - 를 통해 기획자들에게 영감을 주고자 만든 책이라 한다. 아무래도 외식업에 국한된 내용이다 보니 퇴준생 도쿄보다는 덜 흥미로웠지만, 그래도 재밌게 읽었다. 재해석, 고객 경험 리디자인, 고정 관념 .. 2020. 4. 17.
요즘 내가 동기 부여 받는 세 가지 난 무척 게으르다. 아, 계획 세울 때만 부지런하다. "시작이 반이라는데, 계획 세운 것만으로 반은 했다. 시작도 안 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 이 정도면 양호하지 뭐" 라는 헛소리로 게으름을 합리화 하곤 한다. 그나마 정해진 마감일이 있으면 다행이다. 마감이 없는 할 일은 계속 미룬다. 퍼블리 뉴스레터를 통해 본 Ted 강연에 나오는 원숭이 (링크) 가 내 머리 속에도 있다. 그래도 나 처럼 일을 미루는 사람이 전세계적으로 아주 많다고 하고, 그런 사람도 테드 강연에 나오는 걸 보니 위로가 된다. 암튼, 지금의 난 딱히 마감이 없는 환경 속에 있다. 패닉 몬스터가 등장할 일이 없다는 거다. (패닉 몬스터가 뭔지는 Ted 영상 참고) 그래서 내 머리속에서 날뛰는 원숭이로부터 합리적 의사 결정권자를 지키려.. 2020. 4. 8.
나는 왜 블로그를 하는가 유튜브가 대세인 시대다. 유튜브 크리에이터를 시작해 보라는 책과 동영상이 넘쳐나고 있고, 평범했던 사람들이 유튜브로 인지도를 얻고 돈도 벌었다는 이야기도 보인다. 일반인, 연예인, 정치인 할 것 없이 모두가 다 유튜브에 열심이다. 그런데, 나는 블로그를 해 보려고 한다. 나 역시 유튜브 영상 많이 본다. 작년만 해도 하루 한 시간 미만, 그것도 주로 업무와 관련된 시청이었는데, 요즘은 음악, 리뷰, 예능, 스포츠 할 것 없이 전방위적으로 본다. 하루에 적어도 한 시간, 어떤 날은 두세 시간도 본다. 아직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은 안 했지만, 지금의 추세라면 조만간 결제할지도 모르겠다. 그런데, 나는 블로그를 해 보려고 한다. 콘텐츠 플랫폼으로 왠지 구닥다리 느낌 나는 블로거, 유튜브도 아니고 인스타도 아닌.. 2020. 4. 2.